문화칼럼
1882년 5월 22일 조선은 미국과 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한다. 중국(청)이 일본과 러시아를 견제하려는 의도에 따라 이뤄진 것으로, 우리나라가 서양을 상대로 처음 쇄국의 빗장을 연 역사적 사건이었다. 이듬해...
1966년 10월 13일 문화재 당국은 전봇대와 도르래와 밧줄을 이용해 경주 불국사 석가탑의 해체 수리에 나섰다. 한 달여 전 도굴꾼들이 사리장엄구를 훔쳐내려고 자동차 수리용 리프트 잭으로...
예로부터 우리들의 삶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마을의 안녕과 평온을 비는 기복적이고 평화 지향적인 사람들의 바람일 것이다.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공동체의 이상과 번영에 대한 희망과...
1.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 을미개혁의 일환으로 1895년에 전국 8도를 23개의 부로 재편성되고, 이름하여 23부제가 실시된다. 23부제가 시행된 이듬해에 다시 전국적인 행정구역 개편이 있었다. 요체는 23부제에서...
“야~야~야~ 내 나이가 어때서~~”모 유행가 가사로 나이 들어가는 어른들의 애환이 담겨 있는 듯하다. 하지만 우리 청소년들에게도 해당되는 말인 듯싶습니다. 나이가 많아서 할 수 없다.’ 나이가...
오늘날 청소년뿐만 아니라 성인들에게도 부족함이 느껴지는 효(孝)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자.‘동방예의지국’이라 불리며 충, 효, 예를 중시하던 조상들의 지혜를 찾아보기가 힘든 요즘이다. 누구의 탓이라고 단정 지을 수...
닉 부이치치(Nick Vujicic)는 어떤가요? 닉의 인생은 어려움과 고난들로 가득 찼었습니다. 그 중 한 가지는 학교에서의 문제였습니다. 호주법에 따라 신체부자유자는 공립학교에 다닐 수 없게 되어있었고, 닉은...
‘권리’ 라는 것이 무엇인가?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특정의 생활 이익을 누리기 위해서 법에 의하여 부여된 힘.’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법에 의하여 부여된 청소년의 권리는 무엇인가?...
1 들어가며 영국의 인류학자 에드워드 버넷 타일러는 저서〈원시문화 Pri mitive Culture〉(1871)의 서두에서 문화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문화는 지식·신앙·예술·도덕·법률·관습 등 인간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획득한 능력...
원래는 태산서원(泰山書院)이라 하던 것을 숙종 22년(1696)에 사액됨으로써 무성서원(武城書院)이라 하게 되었다. 사우에는 최치원을 비롯하여 신잠, 정극인, 송세림, 정언충, 김약묵, 김관 등의 지역 현인들을 배향하였다. 현존 건물로는...